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K-SIAS)와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K-SPS)의 단축형 타당화 연구

  • 545
130418.jpg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와 사회공포증 척도(Social Phobia Scale; SPS)는 사회 불안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자기 보고식 척도로서 선행연구들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 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해 여전히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두 척도를 쌍으로 실시하는 특성으로 인해 역학 연구 나 임상 및 실험 장면에서 부담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5명의 사회불안장애 환자집단과 445명 의 일반 성인집단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임상집단과 일반집단에 가장 적합한 한국판 SIAS와 SPS의 단축형 척도를 개 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단축형 척도들을 비교한 결과 임상 집단에서는 Peters||| Sunderland||| Andrews||| Rapee와 Mattick(2012)의 2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집단에서는 Carleton||| Collimore||| Asmundson||| McCabe||| Rowa와 Antony(2009)의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우수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에 임상집단과 일반집단의 자료를 통합한 전체집단에 대한 모형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Carleton 등 (2009)의 3요인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단축형 척도의 내적 일치도를 탐색하였으며||| SIAS와 SPS 전체 문항 및 관련된 척도들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Peters 등(2012)의 단축형 척도와 Carleton 등(2009)의 단축형 척도 모두 양호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다만 SIAS의 5번문항과 9번 문항의 총점-문항간 상관이 일반집단에서 매우 낮아 추후 연구를 통해 재검토해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축형 척도들의 변화 민감도를 파악하기 위해 인 지행동집단치료에 참여한 사회불안장애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SIAS와 SPS의 변화점수와 단축형 척도들의 변화점수의 표준화한 값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단축형 척도들의 변화 민감도도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지막으로 ROC 곡선 분석을 통해 단축형 척도들의 진단 민감도를 살펴보고||| 각 척도를 통해 사회불안장애 환자를 선 별하기 위한 최적 절단점을 제시하였다. 종합하자면|||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한 모형 적합도||| 신뢰도 및 타당도를 전반 적으로 고려할 때 Carleton 등(2009)의 단축형 척도와 Peters 등(2012)의 단축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