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 사회복지학의 고등교육 50년 : 사회복지의 제도화와 고등교육의 대중화를 배경으로

  • 470
커버이미지 없음

한국 사회복지교육은 대체로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도입기인 “사회사업학과”의 시대와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사회복지학과”의 시대,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가족‧사회‧복지학군”의 시대라는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은 사회복지제도나 현장의 형성과 사회복지의 필요성 인식 이전에 1947년 이화여자대학의 기독교사회사업학과의 출범과 함께 미국식 사회사업 전문교육을 내용으로 하는 대학교육으로 시작하여 1970년대 이후 산업화의 모순이 분출하면서 1980년대에 학문영역의 광역화와 함께 사회복지교육으로 바뀌었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세계화와 가족구조변화와 대학교육개혁 등으로 인한 고등교육의 대중화 여건 하에서 정체성과 전문성 확립의 증가된 요구에 직면해 있다. 정체성과 전문성 확립을 위해서는 실습교육의 강화와 한국 사회복지현장에 적합한 실천철학 및 이념의 개발, 사회과학적 인식과 역사인식의 제고 및 제도교육의 강화, 사회복지의 학제성을 인정한 내실있는 교육내용의 표준적 정립이 필요하다.

1. 서 론

2. “사회사업학과”의 시대(1950년대와 1960년대)

3. “사회복지학과”의 시대(1970년대와 1980년대)

4. “가족‧사회‧복지학과”의 시대(1990년대 이후): 세계화 시대의 사회복지교육

5. 한국 사회복지 교육의 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