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복지사의 자기자각(self-awareness)의 재조명과 사회복지실천 교육방법 연구

  • 287

매년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받는 사람의 수는 2004년 19,196명, 2005년 25,354명, 2006년 33,315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는 심리사회적 기능상의 다양한 위험에 처하는 클라이언트 군이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다문화 이슈가 팽배해져 어느 때보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자질이 중요하고 또 염려가 된다. 점차 복잡다단해지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특성으로 인해 전문적 가치와 판단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이므로 기본 자질로서 자기자각(self-awareness)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복지사 윤리의 준수와 가치ㆍ지식ㆍ기술의 통합적 활용에서 자기자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환경과 인간에 공히 초점을 두는 자기자각의 이론적 체계를 형성하며, 자기자각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법의 개발 및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먼저 사회복지사심리내적 그리고 사회복지사―클라이언트의 이인관계에 초점을 두는 기존의 자기자각 개념을 반성하고 사회ㆍ정치ㆍ문화적 구조와 환경의 중요성을 재도입하기 위해 사회학적 이론의 관점과 Kondrat (1999)의 개념화를 통해 대안적인 비판적 자기자각을 제안한다. 아울러 현재 사회복지실천의 교재에서 나타난 자기자각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고 이를 향상하기 위한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효과적인 전략으로서 시뮬레이션의 개념과 프로그램 개발의 요건, 그리고 실제 활용 예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복지교육 및 실천현장에서 ‘환경 속의 인간’에 적합하고 임파워먼트 증진과도 일맥상통하는 자기자각의 증진을 위한 방안과 후속 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1. 서 론

2. 자기자각과 사회복지실천

3. 자기자각과 사회복지실천교육

4.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