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동작 치료는 “개인의 신체와 정신의 통합을 위하여 움직임을 정신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ADTA,1986:페이지 추가)으로 이것은 내적 변화의 매체로서 동작의 사용에 초점 맞추어진 심리치료의 형태이다. 무용치료사들은 내담자들의 근육 움직임과 심리적 그리고 생리적 과정 사이의 상호 관계에 초점을 두어 감정과 충동을 표현하게 함으로서 개인의 정체성을 찾게 한다. 그리하여 자기 인식의 명확한 감각을 가지고, 대체적인 행동 양식이 탐구 되어지고, 행동의 재구성이 보다 건강한 기능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1940년대 이후 무용치료사들은 Chace에 의해 입증된 무용/동작 치료의 개념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류분순,2000:53). 그녀는 무용/동작 치료의 이론을 세우는데 기초를 제공한 4가지 기본적인 개념 즉, 신체 활동(body action), 상징(symbolis), 치료적 움직임 관계(therapeutic movement relationship), 리듬적 그룹 활동(rhythmic group activity)을 주장하였다.
1.서론
2.이론적 배경
3.무용치료사 과정의 교수 모델
4.무용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
5.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