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선행 연구를 통하여 심리학자들은 인생의 초기에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주관적 경험들과 개인의 심리 발달과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밝혀오고 있다. 개인의 초기 경험들은 영유아기에 받는 모든 자극의 결과를 말하는 것으로, 초기 경험의 중요성은 이미 심리학, 교육학, 의학, 사회학 등 각계의 연구를 통하여 밝혀지고 있다. 또한 초기 경험의 주제공자인 어머니와 영유아의 관계성의 중요성 또한 이미 대상관계 이론가를 포함한 많은 교육, 심리학자들에 의하여 언급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심리적 발달에 있어 한 개인이 겪게 되는 초기 경험이 성인이 되어서까지도 그 사람의 심리상태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초기 경험의 주제공자인 어머니와의 관계가 개인의 심리, 정서, 인지, 사회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어머니의 성격 성향이 아동과 어머니의 관계에 있어 핵심적 부분을 차지하며, 아동의 심리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동 무용/동작치료 임상 현장에서도 나타나는데, 아동의 어머니의 내적인 성숙과 변화, 지원 없이는 아동의 진정한 발달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음을 아동 임상 현장에 있는 수많은 교육가와 임상가들은 공감할 것이다. 특히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의 어머니의 경우, 죄책감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다소 폐쇄적인 대인관계 성향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개인의 스트레스 관리가 안 되어 정서적 문제를 안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및 절차
<3> 치료 목표 및 치료적 전략
<4> 반영적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Ⅲ 사례
<1> 회기별 프로그램의 내용
Ⅳ 결과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