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피해자들은 몸이 침범 당한 것처럼, 모든 정상적인 신체적, 정서적 경계가 무너지고 정신적, 신체적인 충격은 자신의 몸과 내면세계와의 관계를 바꾸어 놓게된다. 무용동작치료는 정신과 몸과 감정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중요한 치료 형태가 된다. (Gillman,1980:43). 우리나라에서는 성폭력 특별법이 제정 된 후 1995년부터 지금까지 전국에 142개소의 성폭력 상담소와 16개소의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및 청소년 쉼터 등에서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위기 개입을 하고 있으나 특별히 아동․청소년 시기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고 아직 자아 확립이나 인생관, 세계관이 정립되지 못했기 때문에 성폭력 피해 경험은 아동과 청소년에게 큰 혼란과 갈등을 야기하여 치명적인 상처를 남기게 된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성폭력 피해 청소년을 위한 무용/동작 심리치료의 접근 방법
2. 성폭력 피해 청소년을 위한 무용/동작 치료 프로그램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측정도구
4. 자료처리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자아정체성 효과
2. 자존감 효과
3. 치료요인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