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관리권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
- 이종환 이민형
- 한국경호경비학회
- 시큐리티연구
- 경호경비연구 제2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1.03
- 61 - 87 (27 pages)
경비업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경비업에 대한 규제적 측면에 치우쳐 있으며, 구체적인 권한 부여에 관한 규정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경비업무을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경비원의 권한에 대한 근거 규정의 미비와 그러한 권한의 한계를 명확히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비업법상 경비업 주체의 업무 수행의 한계를 부여함과 동시에 경비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담보할 수 있는 권한 근거 규정을 도출할 수 있는 해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경비업법 제7조 제1항의 「관리권」이라 할 수 있다. 경비업법에 규정된 관리권의 범위에는 점유권에 기한 자력구제권을 근거로 하여 자력방위 및 자력탈환권이 포함되며, 사실적 지배행위로서 정지 및 질문권, 출입통제 및 퇴거요구권, 물품 검색・반입 보류 및 금지권 등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점유보조자의 지위에서 경비원은 관리권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사전예방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방활동에도 불구하고 법익 침해가 예상되거나 이루어진 경우 관리권에 근거하여, 소극적 저항행위와 저항수단으로서의 유형력 범위 안에서 실력으로 침해를 저지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물리적 유형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형법상 위법성조각사유인 정당방위・긴급피난・정당행위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요약>
I. 서론
Ⅱ. 경비업법에 대한 일반적 고찰
Ⅲ.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65378;관리권&#65379;의 의미
Ⅳ. &#65378;관리권&#65379;에 기한 경비원의 지위 및 권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