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제도 발전 방안에대한 고찰
- 조용순
- 한국경호경비학회
- 시큐리티연구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40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09
- 175 - 207 (33 pages)
산업보안관리사는 현재 민간자격이지만 향후 국가자격화 되어 현장에서 적절하게 활용 가능한 인력인지 여부에 대하여 국가적으로 공신력이 부여될 필요가 있다. 공신력 확보를 위한 운용방안 중 고려할 수 있는 것이 등급제이다. 현재와 같이 단일 등급제로 운용할 경우 양적 확산에 초점을 두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질적 혁신 차원 에서 산업보안관리사의 등급제도 활용도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여 등급을 구분할 필 요가 있다. 한편, 산업보안 현장 실무자의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요 건, 산업보안 실무연수 과정 이수, 민간자격을 이미 취득한 인력의 경우 국가자격 승계문제 도 중요한 고려 사항중 하나이다. 산업보안관리사제도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국가자격화를 통한 공신력 확보뿐만 아니 라 산업보안관리사의 인력의 수요창출이 필요하다. 현재 증가하는 산업기술유출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우리기업 등의 보안관리체계의 미비 등 산업보안대응 역량이 상당히 취약한 실정임을 고려할 때, 산업기술 보호에 특화된 산업보안관리체계에 대한 인증을 기 존의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과 별개로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산업보안 관리체제 인증제도 와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제도가 연동될 때 국가핵심기술 등을 다루는 기업체, 연구기관 등 의 산업보안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Ⅰ. 서 론
Ⅱ. 산업보안 관련 자격증 현황
Ⅲ.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제도 개선필요성 및 고려사항
Ⅳ.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제도 관리 및 활성화 방안
Ⅴ. 산업보안관리사의 국가자격화를 위한 관련 법령
제 ? 개정방향
Ⅵ.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