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저널
지적장애아동의 자립생활을 위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활동보조서비스인의 중점으로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임상사회사업연구
- 제8권 제2호
- 2011.01
- 139 - 160 (22 pages)
"장애인에게 있어 자립생활이란 일반적으로 장애인 본인의 소득으로 독립된 생활을 하는 것은 물론 일상생활동작(ADL) 또는 이동에 있어서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장애인의 자립생활은 경제적 자립, 신변자립과 더불어 장애의 의료적 치료와 그에 따른 재활이 주를 이루었으며 장애인을 환자로서 또는 보호의 대상으로 간주하던 관점에서 장애인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일상생활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생활의 주체자 또는 소비자로 인식되고 있는 사회학적 관점1)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관점의 영향으로 장애인단체를 중심으로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과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확충, 활동보조인서비스의 제도화를 꾸준히 요구하여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지적장애아동의 자립생활을 위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Ⅳ. 사회적 기술 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Ⅴ. 결과 및 해석
Ⅵ. 결론 및 발전 방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