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노인의 신체기능과 삶의 질 및 자아통합감과의 관련성

  • 106
130248.jpg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하는 경로당에서 층화무작위추출법 (stratified random sampling) 으로 130명과 경상북도 지역의 A시의 소재하는 경로당에서 61명을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65세 이상 노인 총 191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는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1월 31일까지 2개월에 걸쳐 지역별로 조사대상자를 방문하여 설문문항을 설명한 후 자기 기입식으로 총 19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 상자 191명 중 허약성 판단기준에 따라 분류된 허약노인은 37.2%, 비허약노인은 62.8%이었다. 둘째. 신체기능에서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운동능력, 양손 악력, 보행속도 에서도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00).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시력(p=0.000), 청력(p=0.018), 씹기(p=0.000)상태 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ADL/IADL 제한 항목수에서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에 비해 유 의하게 많았다(p=0.000). 셋째.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은 건강관련 삶의 질의 운동능력, 자기관 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0), 건강상태 총 평균점수는 각각 47.89점, 81.58점으로,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t=-9.53, p=0.000). 넷째. 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자아통합감 총점의 평균점수는 각각 89.68점, 112점으 로 허약노인이 비허약노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t=-11.90, p=0.000).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 면, 지역사회 노인 중 허약노인이 37%로 나타났으며, 비허약노인보다 낮은 건강상태, 신체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자아통합감을 보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 중 허약노인을 분류하여 신체 적, 정서적,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허약상태의 예방과 허약노인 관리를 위한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Ⅳ.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