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역사>교과서 단원구성을 위한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방안

  • 94
130282.jpg

2007년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에 새로 설치된 &lt;역사&gt;는 중&amp;#8228;고등학교 역사교육 내용구성의 기본 방향으로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합적 접근을 취하였다. &lt;역사&gt;의 성공은 교육과정의 정신 과 취지를 잘 살려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한 교과서를 개발여부에 달려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lt;역사&gt;가 추구하는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 과서 단원구성 방안 모색을 중심 과제로 삼았다.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8-9학년 한국사 영역에서는 외교적, 정치사적 사건을 동아시아사적 배경에서 다루며, 민족 문화의 독자성을 파악하되 교류사적 관점을 견지하여 세계사와 연계를 추구하였다. 세계사 영역에서는 한국사와 연계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세계사 전체를 그리는 역사상이 한국사의 &#039;거울&#039;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10 학년 &lt;역사&gt;는 근현대의 전개 과정을 세계사적 흐름 안에서 조망하는 가운데, 세계사적 보편성 에 비추어 우리 근현대를 이해하고 성찰하도록 하였다. 대강화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의 검정제 전환은 학습내용과 교과서 단원구성 사이의 관계 에 대한 세밀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amp;#8228;고등학교 &lt;역사&gt;교과서 개발에 어떤 방식의 단원구성이 가능하며, &lt;역사&gt;가 추구하는 한국사와 세계사 연계 구성의 취 지를 살리는데 각각의 단원구성 방식이나 유형은 어떤 장단점을 지니는지 검토하였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사적 이해와 두 영역을 연계시키는 내용구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8-9학 년의 경우, 한국사와 세계사 단원을 별도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두 영역에서 모 두 상대방을 향한 ‘열린 관점’을 명확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내용선정에서 이러한 취지가 살아 날 수 있어야 한다. 모형단원 연구 결과 등을 검토한 결과 여러 단원구성 방식에서 이러한 취지 를 살려나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학년 &lt;역사&gt;는 단원구성 방식에 따라 훨씬 넓은 정도로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방식, 상 호 관련성이 달라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단원 개발 성과를 분석하면서 10학년 &lt;역사&gt;의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단원구성 유형들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가장 무난하게 활용해 온 단원구

Ⅰ. 서 론

Ⅱ. &lt;역사&gt; 과목의 한국사와 세계사 연계 방식

Ⅲ. &lt;역사&gt;교과서 단원구성의 방향

Ⅳ. &lt;역사&gt;교과서 단원구성을 위한 연계 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