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학습 연구의 변천과 의결정모형의 비교

  • 233
130283.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의 의미와 초등 사회과 의사결정 연구의 변천 및 사회과 의사결정 모형의 유형별 비교를 통하여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 사회과교육의 목적을 시민성 함양이라고 볼 때 시민성의 자질로서 의사결정능력을 가장 중요 하게 생각해 오고 있다. 의사결정이란 다양한 속성을 지닌 대안들 사이에서 선택을 의미하며 사 회과의 목표로서 의사결정능력 육성의 중시는 사회인식과 시민적 자질을 가장 유효하게 연결시 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연구의 초점도 약간씩 변하여 왔다. 1970년 대에 초등 사회과에서 의사결정은 사회과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사회과의 목표에서 의사결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1980년대 들어오면서 의사결정은 문제해결이나 사고의 일부분 으로 의사결정의 세부적인 과정, 기능, 모형에 관한 연구물들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르러 의사결정은 시민성 교육의 일환으로 의사결정을 강조하게 되었고 2000년대에는 의사결정 에서 충분한 토의와 토론을 거친 숙고의 과정과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을 연구자는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으로 유형화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보았다. 문제 중심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 하는 Oliver & Shaver(1966)의 하버드 모형, 균형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Banks(1973)의 의 사결정 모형, 반성적 의사결정모형을 대표하는 Engle & Ochoa(1988)의 의사결정 모형을 검토하 여 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밑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의사결정과정, 의사결정모형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사회과 의사결정의 본질과 의사결정학습의 현장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Ⅰ. 서론

Ⅱ. 사회과와 의사결정

Ⅲ. 사회과 의사결정 학습 연구의 변화

Ⅳ. 사회과 의사결정모형의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