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내담자가 바라본 상담자에 대한 지각 유형과 집단상담의 치료요인과의 관계성을 탐색하여 봄으로써, 집단상담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요인 중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지각이 집단상담의 치료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상담실습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중 집단상담에 참여하고자 신청한 18명으로 남학생 3명과 여학생 1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집단상담 참여자들의 상담자에 대한 지각과 집단상담의 치료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담자 평가 질문지와 치료요인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요인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 특성 및 치료요인의 각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의 전문성과 신뢰성(r=0.5542, p<.05), 호감도와 신뢰성(r=0.5474, p<.05)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의 전문성과 호감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의 특성의 치료요인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면,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지각이 치료요인 중 보편성과 실존적 인식, 장점발견, 집단응집력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에 참여한 대상이 대부분 같은 학과에 소속된 학생으로 상담실습과목을 이수하는 대학생들이어서 일반적으로 자발적인 참여동기를 집단원들의 결과로까지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집단상담의 치료요인에는 집단상담 진행과정상 현실적인 제한점으로 인하여 통제하지 못한 많은 변인들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상담자의 집단상담에 대한 접근방식이 내담자 중심적인 측면과 실존적인 측면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이론적 접근방법의 집단상담에 까지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발적인 집단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보다 다양한 접근방식과 다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