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지역사회복지관과 시민단체의 협력방안 고찰
- 김경희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임상사회사업연구
- 제2권 제1호
- 2005.01
- 41 - 64 (24 pages)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대한 대처방식이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이하게 되고, 경제적‧사회적 여건의 변화로 말미암아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처할 전문화된 복지서비스의 욕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사회복지 관련기관 및 지역시민단체들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들 시민단체들의 궁극적 목적은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통한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있다. 이에 시민의식 전반과 지역주민의 생활현장에 기초한 시민단체들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참여정부의 지방분권정책은 사회복지분야에 커다란 도전이 되고 있고,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의지와 이해도에 따라 각 지역별 복지수준은 상당한 차이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하고 있는 이러한 최근의 사회복지환경에 민감하게 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시민단체의 협력과 관련된 새로운 패러다임의 설정이 요구된다. 이에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동일한 궁극적 목적을 가진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시민단체들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협력과 공존의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양자의 연대로 지방분권에 따른 여러 변화 과정에 직접 참여, 각종 지역사회운동을 전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관은 활동영역과 서비스 대상자를 확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회복지서비스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이는 지방분권시대에 사회복지계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과 시민단체 간 협력실태 및 협력 상의 애로사항을 분석, 장애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시민단체들의 구체적인 협력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 실천가들이 과거와 다른 관점에서 지역 내 시민단체들과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복지욕구 충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1.서 론
2.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책임
3.우리나라의 시민단체 활동
4.조사결과
5.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지역사회복지관과 지역시민단체 간 협력의 활성화 방안
6.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