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룹홈 아동의 사회성 기술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임상사회사업연구
- 제4권 제1호
- 2007.01
- 101 - 133 (33 pages)
오늘날 사회가 변화하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사람들의 가치관이나 정신세계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사회구조적인 변화에 속에서 가족구조 변화와 가족원의 기능 및 역할의 변화는 결손 가족 및 가족해체를 야기 시켜 이혼, 별거, 등의 가정 파괴를 일으키고, 이들로부터 버려진 아동의 발생을 증가시켰다. 또한 부모의 사망 또는 행방불명, 남겨진 부모의 가출 등으로 소년, 소녀 가장이 된 아동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 들어 사회, 경제 상태가 나빠지면서 양육시설이나 아동 임시보호에 맡겨지는 아이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가정문제로 인해 부모가 있는 요보호 아동이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와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그룹홈 아동을 위한 연구 및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어 지며, 특히 아동의 발달 특성상 사회적 기술능력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프로그램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그룹홈 아동에게 필요한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놀이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검사도구로는 사회적 기술척도를 사전사후로 아동이 측정하였다. 구성된 집단놀이프로그램은 서울특별시에 있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시설 아동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두 집단을 각각 실험집단(10명)과 비교집단(10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게 6주 동안 총 12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들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두 집단의 차이와 실험집단에서의 효과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놀이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시설 아동의 지기주장, 협동, 자아통제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집단놀이프로그램은 그룹홈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집단놀이프로그램은 그룹홈 현장에 활용할 수 있으며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사회적 기술 능력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프로그램 개발
IV. 사회적 기술 능력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프로그램의 효과검증
V. 결과 및 해석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