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교실 이용자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남 서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임상사회사업연구
- 제5권 제1호
- 2008.01
- 25 - 46 (22 pages)
사회적인 지위와 역할을 상실한 노인들의 교육욕구 충족 및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ㆍ운영되고 있는 노인교실 이용자들의 생활만족도를 조사ㆍ분석하여 노인교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남 함양, 거창, 산청군 면지역의 노인교실 이용노인 25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 생활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요인 등을 조사하여 SPSS 1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서 월등히 높았으며 연령은 71세-75세, 학력은 초등졸업, 종교는 불교, 주거형태는 부부세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강상태는 건강하다와 건강하지 않다는 분포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은퇴 전 직업은 농업, 경제적 수준은 밥 먹고 살 정도, 한달 용돈은 10만원이하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러한 일반적 특성과 생활만족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생활만족도는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 종교생활을 하는 노인, 은퇴 전 직업이 서비스업인 노인, 한달용돈이 30만원이상인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그밖에 생활만족도향상에 영향을 주는 이용요인은 갈 곳이 있는 노인일수록 높았으며 성경교실에 참여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인교실 활성화 방안으로 노인교실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노인교실의 매일운영방안, 정부의 재정지원과 지도감독 및 노인교육기관의 명칭과 소관부처 통일화를 제시하였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조사방법
4. 조사결과 및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