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논문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의 결혼생활에서 부부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질적 및 양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개입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노년기 부부들의 문화적인 특성을 부부성숙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위해서 심리사회이론과 교류분석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내외 부부성숙 프로그램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경기도 P시에 거주하는 6쌍의 노년기 부부들이며, 총 8회기의 정기적인 부부성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부들은 매 회기마다 실시한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 수준을 보여주었다. 둘째,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는 자아통합, 의사소통 및 친밀감을 도출하였다. 셋째, 노년기 부부들의 자아통합, 의사소통 및 친밀감 수준을 양적으로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본 연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노인들이 연구 질문을 하였을 때 프로그램 활동에 그리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그리고 종료 후에는 그들의 생각에 많은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노년기 부부의 결혼생활에서 부부성숙을 위해 자아통합, 의사소통, 친밀감을 증진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는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이 참가한 노년기 부부들에게 유용하게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향후 노년기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가 더욱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프로그램 설계
4. 현장실험 및 평가 방법
5. 현장 실험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