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역량(Competency)은 무엇이며 각 역량의 중요도와 우선도는 무엇인지 주요욕구를 분석하고 차후, 사회복지인력을 교육훈련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 관련한 선행문헌을 고찰하고 법정 사회복지교육기관에서 보수교육을 받은 기관장 패널집단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보수교육 참여자에 대한 직접 및 이메일설문조사를 통해 총 21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인력에게 필요한 필요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KSA)영역의 총 41개 역량이 규명되었다. 개발된 역량을 기초로 중요도, 숙달도의 기준을 고려하여 차후 교육과정개발을 위해 욕구가 높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도출하였다. 중요도에 비해 숙달도가 낮아 시급히 역량강화가 요구되는 영역으로, 지식역량에서는 조직경영, 리더십, 영역별 사회복지정책 동향과 과제, 환경 및 시장분석, 인사관리, 마케팅과 홍보 영역이, 기술역량에서는 수퍼비전과 코칭, 지역사회자원개발 및 자원 활용, 사례관리, 팀워크 및 팀운영 기술이, 태도역량에서는 자기개발, 스트레스관리, 자기관리, 사회변화에 대한 민감성, 조직사명의 내재화영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인력들의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 세부 교육욕구조사 필요성, 조직차원의 역량모델링의 적용 등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