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241.jpg
학술저널

성매매 피해여성 상담원의 소진수준에 관한 연구

  • 77

본 연구는 성매매피해여성 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상담원 102명을 대상으로 매슬락(Maslach)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척도를 사용하여 정서적 고갈,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의 결여 수준으로 소진상태를 진단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매슬락은 소진의 가장 높은 수준을 정서적 고갈은 15점 이상,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는 8.6점 이상, 개인적 성취감의 결여는 13.8점 이하로 설정하였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정서적 고갈은 19.1점, 개인적 성취감의 결여가 12.4점,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는 7.74점으로 정서적 고갈은 매슬락이 제시한 기준치를 훨씬 넘었으나 개인적 성취감의 결여와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는 기준치에 약간씩 못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담원의 상담경력, 피해여성에 대한 비효과적인 지원서비스 등으로 분석되었다. 내담자에 대한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역할갈등, 승진기회의 부재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성취감의 결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피해여성에 대한 비효과적인 지원서비스, 상담경력, 연령, 결혼상태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성매매 피해여성 상담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성매매 피해여성 상담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시간과 내용을 보강하는 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상담원들의 소진예방과 소진치유를 위한 정서지원 프로그램을 제도화하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성매매 피해여성을 위해 현실적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상담원의 전문성과 다양성과 포괄성을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Ι.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