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184.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도소싸움을 통해 본 전통여가의 근대화 과정

  • 50

본 연구의 목적은 청도 소싸움의 근대화 과정을 면밀히 검토해 봄으로서 전통여 가의 근대화 과정을 이해하여 향후 전통여가 관리 및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한국 전통여가의 근대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역사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전통적 경기방식을 유지하며 현재 까지 지속되고 있는 가장 큰 규모의 소싸움 대회인 청도소싸움을 사례로 선정하 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전통여가의 근대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현 장연구 및 면담을 병행하여 이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청도소싸움 의 근대화 과정은 1970년부터 2012년을 기준으로 총 5단계의 변화과정을 거쳐 왔 다. 1)재현기(1970~1990), 2)도입기(1990~1994), 3)번창기(1995~1998), 4)전성기 (1999~2002), 5)호황기 및 혼란기(2003~2012). 변화되는 과정에서 청도소싸움의 의 미는 시기별로 다르게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사회의 흐름과 정부의 개입, 행위 집단의 변화 등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청도소싸움의 ‘전통적 의미’ 또한 변화하는 사회구조 속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 통’의 현대적 의미 해석과 현대 전통여가의 절충적 발전방향을 이를 통해 제시하 고자 한다.

Ⅰ. 서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