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0187.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예술 활동과 중년 여성의 심리적 웰빙 : 스트레스와 성격의 조절적 매개역할

  • 206

본 연구는 사회 정서적 선택이론(socialemotional selectivity theory:SST)과 동기 상 태 이론(motivational states theory:MOST)을 바탕으로 해서, 스트레스가 중년 여성 의 문화예술 활동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매개하며, 문화예술 활동이 스트레스 를 통해 심리적 웰빙에 이르는 모형에서 간접효과가 성격에 의해 조절되는 과정 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40~59세 여성 25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 화예술 관람활동은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를 매개로 해서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문화예술 참여활동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스트레스는 심리적 웰빙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 인하였다. 둘째, 매개효과가 있다는 조건에서 조절효과가 추가되는 ‘조절된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인의 성격 특성 중 외향성이 문화예술 관람활동과 스트 레스 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화예술 참여활동과 스트 레스 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문화예술 활동이 어 떤 과정을 통해 심리적 웰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지를 규명함과 동시에, 긍정적 효과를 높이는 문화예술 활동이 무엇인지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년 여성의 문화예술 관 람 활동은 스트레스를 낮추고 심리적 웰빙을 높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심리적 웰빙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문화 예술 콘텐츠 구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여형 문화예술 활동의 기획 측면에 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