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5, 2016년 농촌과 중소도시 연구에 이어 대도시 베이비붐세대의 여 가라이프스타일이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이다. 대도시에 10년 이상 거주한 베이비붐세대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400명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282부가 수거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자료를 제외하고 총 203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손영미·오세숙·우성남(2010), 이옥희, 이지연(2012)의 설 문지를 초안으로 황향희(2015, 2016)가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 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라이프스타일과 생성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베이비붐세대는 여가무기력형·일중심형 여가라이프스 타일이 높고, 여성베이비붐세대는 관계중심형·가족중심형 여가라이프스타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수령여부에서는 연금미수령자가 여가무기력형·일중 심형 여가라이프스타일이 높고, 사회기여형 생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의 직업유무에 따른 결과에서는 현재직업이 있는 베이비붐세대는 여가무기력형· 일중심형 여가라이프스타일이 높고, 현재직업이 없는 베이비붐세대는 관계중심 형·가족중심형 여가라이프스타일이 높고, 중년의 정체감 확립형 생성감이 높았 다. 마지막으로 노후에 일지속의사가 있는 베이비붐세대가 합리적계획형·일중심 형 여가라이프스타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도시 베이비붐세대의 여가 라이프스타일이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여가무기력형 라이프스타 일은 중년의 정체감 확립형·현실적낙관형·사회기여형 생성감에서 모두 부(-)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라이프스타일 하위변인 중 감각추구형 여가라이프스타일은 현실적낙관형 생성감에서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계중심형·가족중심형 여가라이프스타일은 중년의 정체감 확립형·현실적낙관 형·사회기여형 생성감 모두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