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2000년 7월 1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가 전 인구의 7%가 넘는 노년국가에 진입하게 되었다. 노년국가에 진입하게 되면 선진제국의 장수국 인구 구조를 갖게 되어 한편 바람직한 복지국가일 수도 있으나 그 반대로 장수로 인한 여러 가지 노인 문제와 사회적 역기능을 초래하는 것도 필연이다. 많은 연구에서 노인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행복의 지표는 객관적인 지표보다 주관적 지표에 더 의존하고 있음을 염두에 두고 노인문제의 해결책을 불교의 선 수행의 생활화를 제안한다. 여러 가지 선 가운데 특히 천태대사의 정좌요결, 육묘법문, 동몽지관, 사념처 등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심신이 허약한 노인들이 책을 읽기만 하여도 마음이 상쾌해지는 경험을 얻었다고 하는 것과 같이 노인들이 쉽게 선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1.머리말
2.치료와 참선의 만남
3.선의 무지자들의 해탈에의 회구
4.선의 수행 방법
5.노인의 심리와 선의 고찰
6.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