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창출'은 최근 10 여년간 교육공학 인접분야에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용어임에 틀림없다. 그러함에도 용어의 보편적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관련 개념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용어 사용과 해석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특히 학습과 조직을 연구하는 분야에서 '지식창출'은 이원적 의미로 사용되어 학습-작업-혁신을 통합하고자 하는 최근 사회의 노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학교교육과 기업교육에서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지식창출의 개념을 문헌연구을 통해 재정립함으로써 사회의 지식창출 요구에 부응하고, 사회 구성원들의 지식창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마련의 초석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2개의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선정된 36개 연구논문의 문헌분석을 통하여 지식창출을 개념화하고, 구체적인 과정과 지원전략을 규명하여 향후 지식창출 환경 구축을 위한 개념적 틀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개인 지식창출 과정의 개념적 틀은 1) 문제이해, 2) 자원획득, 3) 의미구성 3) 산출평가의 네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문제 및 상황의 분석, 목표설정, 환경 탐색, 자원 및 정보 선택, 주관적 의미구성, 사회적 의미협상, 해결책 혹은 결과물의 산출, 결과와 과정의 평가 등의 8개의 하위과정으로 분화되었다. 또한 지식창출 지원 전략으로서 총 25개의 전략이 도출되어 1) 환경관리 전략, 2) 목표/계획수립 전략, 3) 의미화 전략, 4) 성찰/평가전략, 5) 외현화 전략 등의 다섯 전략 군으로 조직되었다.
I.서론
II.이론적 배경
III.연구방법
IV.연구결과
V.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