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DSM-5의 개정에서 본 발달장애의 새로운 진단명과 진단 기준 그리고 ASD의 명칭 도입과 ADHD의 변화
- 한국발달장애학회
- 발달장애연구
- 발달장애연구 제18권 제4호
-
2014.01157 - 177 (21 pages)
- 2,063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해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SM)의 개정 변화를 DSM-5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했다. 이 연구를 통해 본 DSM-5의 개정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발달장애군(ND) 신설을 통해 좀 더 임상적 증거를 기반으로 진단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변화로는 다축진단의 폐지, 중증도의 평가 도입, 19개 장애군에서 22개 장애군으로 증가, 차원적 평가 도입, 특정불능(unspecified)의 대책으로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PDD-NOS)의 명칭을 없애고 있다. 둘째, 자폐 스펙트럼장애(ASD)로의 장애명칭 변경과 그 준거가 3세 이전의 증상 발현에서 아동기로 확대되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하나의 차원인 사회적 의사소통으로 보고, 반복적 상동행동과 함께 2가지 진단차원으로 줄여서 진단준거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의 진단기준을 7세 이전의 발생 나이에서 12세로 확대하고 청년, 성인(17세 이상)은 진단기준 5항목으로 나타내고 있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DSM-5의 새로운 진단명과 진단 기준의 변화
Ⅳ. DSM-5 안에서 ASD의 명칭 도입과 변화
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의 변화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