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음악활동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사회성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화연구이다. 총 152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문항양호도 검증을 거쳐 개발된 문항을 검사양호도 검증을 위 한 평가도구 검사 타당도와 검사 신뢰도를 알아본 것이다. 검사타당도를 위해 구인타당도 검증과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검사 신뢰도는 문항내적일치도로 검증하였다. 구 인타당도 검증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평가도구의 동질성 검증으로 평가도구의 총점과 하위영역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의 하나로 공인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본 평가도구와 기존 표준화검사도구 간의 총점수과 하위영역별 점 수를 상관분석 하였다. 검사신뢰도 검증은 총점수와 하위영역별 점수의 내적 일치도를 분 석하였다. 결과, 구인타당도의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44문항이 도출되어 본 평가도구가 사회 성이라는 구인을 세 개의 하위영역별로 분리되어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가도구의 동질성으로 총점과 하위영역 간 r = .865 이상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 타내고 있어 하위영역 간 사회성이라는 심리적 구인을 연관성 있게 평가 할 수 있는 타당 한 평가 도구임을 보여주고 있다. 공인타당도 검증으로 기존평가도구와 본 평가 도구의 총 점이 r = .866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본 평가도구로 유아의 사회성을 표준화 된 평가도구와 유사하게 평가 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검사의 신뢰도는 전체점수의 내적일치도 점수가 Cronbach ? = .976로 본 평가도구가 유아의 사회성을 일관성 있게 평 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검사양호도 검증을 통해 타인과의 상호작용 19문항, 자아개념 14문항, 자기규제 11문항으로 총 44문항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인 음악활 동에서 관찰될 수 있는 유아의 사회성 평가를 위한 평가도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평가도구임이 확인되어 음악활동 안에서 유아의 사회성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