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9860.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 188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맥락과 아동기라는 특정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기본생활습관을 구성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생활습관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측정도구 개발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첫째, ‘구인의 탐색과 추출’에서는 전통 아동 교육서 및 ‘효’ 연구, 초등학교 교재, 기본생활습관에 관한 국내외 척도 그리고 사회의 일반적인 지각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합하여 제작한 기본생활습관 척도 예비문항은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 그 내용을 검토 받았다. 둘째, 예비조사에서는 문항양호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본생활습관 예비 척도를 10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셋째, 본조사에서는 37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과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를 구하였다. 또한 84명의 자료를 가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을 구성하는 예비 요인은 인사, 언어, 수신, 신의, 정직, 청결, 자율, 책임, 정리정돈, 절약, 건강, 효도, 규칙, 그리고 애국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집단의 의견통합과정을 통해 내용 타당도와 사회적 타당도의 증거가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46문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대표하는 요인으로는 질서, 정리정돈, 신의와 책임, 예절, 건강, 청결, 그리고 자율로 정리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그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I. 서 론

II. 연구방법 및 절차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