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의 만 2세 영아들의 전이와 적응을 조사하고자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2007년, 2008년 2년 동안 각각 3-4월에 이루어진 전이와 적응에서 재원 영아와 신입 영아들의 또래와의 상호작용, 사회적 관계 형성, 적응 현상을 관찰하여 해석하였다. 연구 장소는 동일한 어린이집의 2세 영아 학급을 2년 동안 관찰하였으며, 일주일에 2-3차례, 아침 9:30분부터 11: 30분 혹은 12시까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과 해석은 참여관찰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유사한 사례들을 주제로 추출하여 해석하였다. 재원 영아들이 많은 해의 경우, 신입 영아들은 전이 기간 동안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쉽게 했으며, 이에 따라 적응도 쉽게 그리고 빠르게 이루어졌다. 신입 영아들은 재원 영아들의 ‘자발적인 공동체 의식’에 쉽게 몰입하였으며, 재원 영아들과 함께 다양한 놀이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신입 영아들은 다양한 대안적 전략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시도하였다. 전이 기간에 일어나는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적 관계가 적응을 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은 보육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이 및 적응 관련 실제의 방법론이 재정립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Ⅲ.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