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특성분노와 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2,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406명 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고,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단순 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특성분노가 분노표현방식 중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특성분노가 높을수록 분노억제와 분노표출방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노억제의 경우엔 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중 비난형과 초이성형이, 분노표출의 경우에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이 분노통제의 경우엔 회유형과 초이성형이 유의미한 설명변 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특성분노와 모-자녀 간 역기 능적 의사소통 유형의 직‧간접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특성분노와 분노표현방식에 간접효과를 주는 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중 초이성형은 분노억제를, 비난형은 분노표출 방식으로 이어지는 차이를 보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자녀의 특성분노 영향력이 분노표현방식의 방향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0)
- 청소년의 특성분노, 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및 분노표현방식의 관계
-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농촌지역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감 연구 : 어머니 양육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유아기 가정환경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초등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 간 관련성 탐색 I
-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 수줍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친구관계 비교연구 : 상호적 친구 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및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 한국 다문화공동체 구현을 위한 문화적응 모형 탐색 : 광주․전남지역 일본, 중국, 조선족, 베트남,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