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9885.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동상담에서의 치료적 ‘민감성’ 분석 : 치료놀이(Theraplay)를 중심으로

  • 166

본 연구는 아동상담방법 중 하나인 치료놀이(Theraplay)를 중심으로 치료적 ‘민감성’을 아동, 즉 영아와 치료 사 간 상호작용 속에서 구명(究明)하고 있다. 특히 치료적 ‘민감성’을 현상학적 관점에 입각해 살펴보고 있 다. 그 결과, 치료적 ‘민감성’은 ‘일관’, ‘몰입’, ‘믿음’이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치료사는 아동의 ‘다 층적 일관’에 대응해 ‘원리적 일관’으로 상호작용하였는데 치료사는 변하지 않는 원리를 토대로 각기그때마 다 달라지는 상황에 따라 일관적으로 아이와 상호작용 하였다. 아이들은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답습적’인 모습에서, ‘전이적’ 모습으로 또 ‘구성적’ 일관의 모습으로 순간순간 자신을 변화시켜 나갔다. 치 료적 ‘민감성’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는 ‘몰입’이었다. 몰입은 때로 ‘무관심’으로, ‘공감’을 전제로 한 ‘배려’ 로 표현되기도 하였으며 다른 상호작용으로의 ‘전환’ 계기도 되었다. 나아가 치료적 ‘민감성’을 구성하는 또 다른 요소로 ‘믿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치료사의 믿음은 무엇이든 될 수 있는 ‘가능태’인 아동에 대한 존 재론적 신뢰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료적 ‘민감성’에 대한 상황적 맥락의 분석을 토대로, 치료사들의 행위 이면 심리적 기제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심리적 기제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었는데 하나 는 ‘원리’와 ‘내용’의 조화 추구였다. 치료사들은 확고한 원리를 갖고 아동의 상황에 맞게 행위(내용)했다. 그러나 아이의 각기 다른 상황에 맞게 행위 하기가 어렵기에 치료사에게는 또 다른 기제가 필요했다. 그것 은 다양성에 대해 개방적 태도였다. 치료사는 민감성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 간 다양한 역동을 열린 마음으 로 수용하면서 좀 더 나은 치료적 민감성을 드러낼 기법적 숙련을 위해 노력해야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자기반성은 치료사에게 필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