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성의 일반적인 수준을 알아보고||| 영성이 성공 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 인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남자노 인 118명과 여자노인 197명||| 전체 315명이었으며||| 이들의 연령범위는 61세에서 91세 사이였 다. 첫째|||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성공적 노화와 영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공적 노화 수 준은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높았다. 종교적 영성 수준은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80대 이상 집 단이 70대 집단보다 높았다. 실존적 영성 수준은 60대와 80대 이상 집단이 70대 집단보다||| 중류층 이상 집단이 저소득층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 모두 성 공적 노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즉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성 공적 노화의 수준도 높았다. 셋째||| 실존적 영성은 인구학적 배경 및 신체 기능과 인지 기능 을 통제한 후에도 성공적 노화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 노인들의 실존적 영 성 수준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수준도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성공적 노화를 위해 물질적 지원뿐 아니라 영성적 측면||| 특히 실존적 영성을 포함하 는 통합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