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저널
“행복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대한 토론문 [토론문]
- 최지영
- 한국인간발달학회
-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제9호
- 2013.12
- 61 - 64 (4 pages)
‘행복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대한 발표는 교육에 관심 있는 실천가와 연구자들에게 한국 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목표,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과 실천방안에 대해 다 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고 생각한다. 발표 내용 가운데 행복에 대한 선 행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결국 행복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직업, 소득수준, 학력, 외모 등의 객관적 조건보다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심리적인 대응능력을 갖추고, 상황을 긍 정적으로 해석하고, 행복을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상황에 처 한 개인이라도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따라서 개인이 느끼는 행복과 불행의 정 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공감하는 바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