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9902.jpg
학술저널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에 대한 토론문

  • 30

학교폭력에 대한 관점은 점차 가해자와 피해자 중심의 이분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학교 의 모든 구성원들이 학교폭력과 관련해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회적 과정의 측면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서 학급. 학교 의 문화와 분위기가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에 대한 정종진 교수님의 발표는 시의적절하고 교육적 시사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또 한 발표논문에서 대표적인 생태학적 이론가인 Bronfenbrenner의 이론과 더불어 학교폭력에 대한 국제보건기구의 생태학적 모형, Benbenishty와 Astor의 생태학적 모형 등이 소개되어 있 어 학교폭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학교, 사회문화적 요인 등을 종 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학교폭력을 개인의 특성 또는 개별적인 특정 원인으로만 파악 하기 보다는 다양한 수준의 생태학적 변인과 변인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발표 자의 학교폭력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에 대해서 전적으로 동의하며,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서 몇 가지 함께 고려해보았으면 하는 점들을 중심으로 토론하고자 한다.

학교폭력에 대해 왜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한가? 학교폭력에서의 성차 논의에서 관계적 공격성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 학교폭력 가해자들은 비슷한 특성을 지닌 동질적 집단인가? 교사는 학교폭력예방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 학급 분위기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어떻게 수업시간에도 괴롭힘 행동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구성원들의 태도와 학교의 조치는 어떠해야 하는가? 비행친구와 어울리면 늘 공격행동이 증가하는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