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9838.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유아의 초기 어휘획득에서 제약성의 역할(I)

  • 82

최근 모든 언어의 초기 획득과정에서 인지 보편적인 제약성(constraints)이 작용하여 유아의 어휘획득을 품는다는 제약성의 견해(Markman, 1989)와 반대로 언어에 따른 차이를 강조하는 언어특정성 가설(specificity hypothesis)(Gopnik & Choi, 1990;1995)사이의 논쟁이 한국어의 어휘 획득과정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제약성의 견해에서는 언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언어의 초기 획득과정에서 명사가 동사보다 더 많이 획득될 것을 예언한다. 그러나 이에 비해 언어특정성 가설은 동사가 강조되는 언어에서는 동사가 명사보다 더 빨리 획득될 것이라고 예언하며 따라서 한국어의 초기 획득과정에서는 영어와 달리 동사가 명사 보다 더 많을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명의 유아들이 한국어를 획득하는 초기과정에서 명사와 동사의 비율을 종단적인 방식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유아들에게 있어서 자료수집이 지속된 전 기간 동안(18개월-22개월) 항상 명사가 동사 보다 3-17배 가량 더 많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지 보편적인 제약성의 역할이 초기 어휘획득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연구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