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한글은 음소문자이면서도 음절표기를 한다. 또한 자음자, 모음자가 가획에 의해서 매우 조직적으로 만들어진 문자로서 각 자소의 음소와의 대응이 매우 규칙적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문자 터득시기 아동 대상의 한글 읽기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으로는 철자재인 단위로서 '글자'라는 단위가 존재한다는 것과 한글 자소-음소 대응관계의 파악이 다른 음소문자보다 용이하고 자모의 시각적, 음운적 특성이 자소-음소 대응규칙의 터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소와 음소의 대응과정에서 삼성음절(C1VC2)의 글자가 '초성+중성'(C1V)의 음절체과 종성부분(C2)으로 먼저 분해되고 이에 각각 소리가 대응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것은 같은 음소문자인 영어권의 아동들에서는 초성(C1)+각운(VC2)으로 분해되는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였다. 이는 문자 학습 초기의 철자-발음의 대응과정에서 음절과 음소의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단위인 각운(VC2)이나 음절체(C1V)의 음운 정보가 표상된다는 언어보편적인 면을 보여주는 것이며 한편 이 중간크기의 음운단위는 각 모국어의 음절구조를 반영한다는 언어특수적인 면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I.읽기과정: "해호화와 이해"
II.해호화
III.한글의 특성과 한글 해호화 과정
IV.문자 해호화 과정의 보편성과 특수성
참고문헌
영문초록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