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 교수학습센터 연구원 직무모형 개발

  • 568
129768.jpg

대학은 우리 사회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의 변화에 맞게 교육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그 질 적 수월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대학 교수학습센터는 이를 위해 대학의 교육비전과 특성화 전 략, 교수자 및 학습자 역량 개발, 나아가 대학교육 혁신에 중핵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이다. 대학 교 수학습센터가 실행해야 할 다양한 영역에서의 전문적인 기능은 이를 위한 전문 인력의 확보가 그 성패 의 핵심적 관건이 됨을 시사하며, 이들의 적합한 선발과 훈련을 통해 센터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서는 전문 인력의 직무에 대한 규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센터 연구원의 직무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직무(job)를 정의하고, 이 직무를 구성하는 업무 (duty)와 과업(task)을 파악함과 동시에, 각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 핵심과업을 밝혀 최종적 으로 직무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교수학습센터 연구원의 직무는 10개의 업무와 71개의 과업 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업무는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개발’, ‘1회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장기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e-learning 콘텐츠 운영’, ‘교수학습 지원도구 제작’, ‘프로그램 평가’, ‘연구원 역량개발’, ‘행정업무’, ‘대학본부 지원’의 업무가 도출되었다. 이들 업무 중 연구 및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의 기획업무와 평가업무가 대다수의 핵심 과업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운영 업무는 절반가량의 비중을 차지하기는 하지만 핵심 과업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운영업무가 이들의 전문성이 나 본연의 역할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업무인 것으로 드러났다. 교수학습센터 연구원의 직무모형을 통해 해당 직무와 조직의 역할 및 현황을 논의하고, 대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