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이한 조직 문화를 가진 두 학교 교사들의 시간 활용 양상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강화이론 및 이를 둘러싼 최근의 논의를 연구의 이론적 분석틀로 삼아, 시간 활용 양상으 로 체현되는 교사의 직무 강화 양상이 어떻게 학교 조직적 차원에서 중재되고 매개되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험표집법, 시간일지기법, 인터뷰와 쉐도잉 관찰기법과 같은 다각적이고 혁신적인 질적,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한 혼합 연구접근과 두 학교를 대상으로 한 다중 사례연구기법 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 시간 배분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 시간의 양적 측면과 시간 활용에 수 반되는 동시행동, 감정과 같은 질적 측면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전문적이 고 협력적인 교직문화, 교육 이해당사자간의 신뢰,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및 수업 지도성과 같은 학교 조직 차원의 요인들로 인해 교사들의 시간 활용상에 나타난 교직의 업무 강화 양상이 매개되거나, 조 절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라는 프리즘은 교사 들이 자신들의 직무의 본질을 어떻게 규정하는 지 보다 섬세하게 포착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역 으로 시간에 의해 교사 자신들이 어떻게 규정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게 함으로써, 교 원 정책 수립 및 교직 연구를 위한 폭넓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개념이자 유용한 접 근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I. 서론
Ⅱ. 강화이론의 재조명: 조직과 시간 차원을 중심으로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