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9791.jpg
KCI등재 학술저널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 1,916

가족치료의 다양한 학파들은 성장지향적 접근과 문제해결적 접근으로 대별하고 전자에는 정신역동적, 보웬, 경험적 모델들을, 후자에는 Minuchin의 구조적 모델, Haley의 전략적모델, 행동적 모델을 포함시키고 있다 (Nichols, 1981, 재인용). 이들 접근방법 중에서 구조적 가족치료는 임상가들에게 가족의 상호교류의 질서와 의미를 파악하는 가족상호작용과정을 분석하는 틀을 제공해 주었다. 초기 대표적인 인물인 Salvador Minuchin은 가족행동이 일관되고 조직화되어 예측할 수 있는 양상으로 반복되는 경우 기능적 의미에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구조가 진단과 치료에 명확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보았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이처럼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은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하위체계의 개념이 명확하고 과학적으로 논증이 쉽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도 구조적 가족치료이론과 관련된 문헌연구, 조사연구, 사례연구 (김수정, 1995; 김효남, 1984; 남영옥, 1992; 박영숙, 1987; 변귀연, 1988; 손정영, 1991; 이지수, 1993; 최송식, 1986) 등이 많이 발표되어, 다른 접근방법에 비해 상당히 많은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연구는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한국 문화적 요인에 고려를 배제한 채, 특정 문제가족에게 이 기법을 적용해 보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이론의 틀은 서구사회에서 개발된 기법을 그대로 가져다 적응하는 지금까지의 소극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적 가족치료의 모델의 개발을 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필요로 하는 시점에 있다고 판단된다.

I.연구의 필요성

II.구조적 가족치료의 대한 개괄적 고찰

III.한국가족의 특성

IV.구조적 가족치료의 효과적 활용방안

참고문헌

영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