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9791.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족치료의가족치료의 가치와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 756

황성철의 연구 (1996)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윤리적 갈등상황에 부딪칠 때 그것을 임상적 개입방법 차원의 문제로서만 인식할 뿐, 그 문제가 윤리적 차원의 문제라는 것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윤리적 차원의 문제에 대한 임상적 실천가들의 민감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효과적인 실천을 위하여서는 가치와 윤리 문제에 대한 가족치료사들의 민감성 증진이 시급한 과제라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위의 가족치료의 16가지 윤리적 딜레마들 중에서 첫째, 임상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와 직접 만나면서 당면하는 윤리적 딜레마, 둘째, 어떠한 모델의 이론과 기법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여러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당면하는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딜레마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임상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와 직접 만나면서 경험하는, 그리고 다양한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당면하는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딜레마로서, '치료자의 가치와 가족의 가치가 다른 경우', '치료자의 여성주의적 가치 부과', '결혼 지위에 대한 결정', '비밀보장-가족 대 개인의 욕구', '고지된 동의'가 부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딜레마들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가족치료자들의 민감성을 증진하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문헌연구이다. 이 5 가지 딜레마를 논의함에 있어서, '가족 대 개인의 욕구'에 관련된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루면서 가장 먼저 논의하기로 한다. 왜냐하면 이는 가족원들을 함께 만나는 치료양식 자체로 인해 본질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로서, 가족치료의 윤리적 딜레마들 중 가장 기본이 되며, 다른 딜레마들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치료자의 가치와 가족의 가치가 다른 경우'에 대하여 알아보려 하며, '결혼지위에 대한 결정'은 여기에서 성역할 및 기타의 가치와 함께 다루기로 한다. 또한 '치료자의 여성주의적 가치 부과'는 '가족 대 개인의 욕구' 및 '치료자의 가치와 가족의 가치가 다른 경우'에 공통적으로 관련되는 이슈로서, 이 두 주제를 논하면서 함께 고찰

I.서론

II.용어의 정의 및 윤리강령

III.가족치료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IV.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