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가족치료연구에서의 질적 방법론의 활용
- 최연실
- 한국가족치료학회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2.01
- 101 - 129 (29 pages)
이 같은 가족치료 분야와의 친연성에 힘입어, 질적 연구방법론은 미국의 가족치료연구 분야에서 점진적으로 주목을 받아 왔으며(Atkinson et al., 1991; Cavell & Snyder, 1991; Christensen & Miller, 2001; Moon et al., 1990, 1991; Sprenkle & Piercy, 1992), 국내에서도 상담 및 임상분야, 사회복지분야, 가족치료분야에서 그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문성호, 1998; 박성희, 1997; 신경림 역, 1998; 유태균 역, 2001; 최연실, 2002). 하지만 아직까지는 가족치료분야에서의 질적 연구방법론 활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활성화되지 않았으며, 사용되는 질적 연구방법론의 내용 검토나 분석이 시도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향후 한국 가족치료연구에서의 다양한 질적 방법론의 활용과 확산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 경향의 분석을 통해 질적 방법론의 활용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가족치료에서의 질적 방법론에 대한 관심의 부각, 적합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질적 방법론의 유형과 방법을 거론한 후, 1993년 이후 한국가족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들의 경향분석을 제시한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경향분석을 통해 나타난 한국 가족치료연구에서 질적 방법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결론과 제언으로 본 논문을 마무리짓고자 한다.
I.서론
II.가족치료연구에서 질적 연구방법의 필요성
III.가족치료에서의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검토
IV.한국 가족치료연구에서의 질적 방법론의 활용 경향 분석
V.한국가조치료연구에서의 질적 연구방법 활용의 한계와 문제점
VI.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