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틱 장애 아동의 가족치료 다중사례 내용분석연구
- 한국가족치료학회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8권 제2호
-
2010.0127 - 56 (30 pages)
- 511

본 연구는 틱 장애 아동의 가족을 치료하기 위하여 MRI 모델과 Murray Bowen의 가족체계 이론 및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을 적용한 사례로서 내용 분석을 통하여 가족치료의 과정과 효과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사례연구로서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아동의 틱 장애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가족 간 잦은 다툼으로 인한 불안감 조성’, ‘가족들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 ‘부부의 원가족 경험’이 나타났다. 틱 장애 증상 완화에 기여한 치료자의 개입방법으로는, ‘치료적 동맹 관계 형성’, ‘내담자의 통찰 돕기’, ‘가족의 재구조화 시도’의 요인들이 나타났다. 가족치료 후 가족의 변화된 모습으로서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 ‘원가족과의 분화’, ‘자녀 양육 방식의 변화’, ‘자녀의 문제행동 소거'의 요인들이 나타났다. 내용분석 결과 위에서 언급한 3개의 가족치료 이론의 적용을 통해 부부 관계 개선 및 자녀의 틱 행동이 소거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틱 장애에 대한 가족치료 개입의 효과성을 보여 줄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사례에 대한 개요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