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440.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세대 장병의 적응실태 및 군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 204

군의 인권상황에 대한 변화 정도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권 상황 변화의 속도에 다가가지 못하고 있으며, 감각적이고 충동적이며 개인중심적인 것으로 특정 지어지는 신세대 병사의 유입은 새로운 병영문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더욱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세대 장병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군 복무 부적응을 야기하는 개인적 요소와 군대 내 사고 사례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군대내 인권침해요인을 확인하고, 군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세대 장병들의 군 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는 우울과 불안 정서로 발전되어 군 복무 의욕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군에서의 다각적인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군대내 인권침해요인은 병상호간 명령, 지시, 간섭, 구타 및 가혹행위, 언어폭력, 병 5대 금지사항 미준수, 사생활 강요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입 초기 심리검사를 통한 심리․사회적 문제점을 조기에 식별하고, 가정과 연계된 상담 활동을 통해 부적응 병사의 부적응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가용한 수단과의 연계를 통해 부적응 병사의 근원적인 문제점 치료와 자존감 회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군대내 부적응 병사를 위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지휘통솔방안으로 부적응 병사에 대한 무조건적인 개입보다 간부들이 부적응 병사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전문적인 교육체계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임상 경험을 통하여 상호 존중과 배려의 병영문화를 정착시킴으로서 병원관리에 대한 부담감이 다소 해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군은 전문적인 군사회복지장교의 양성과 함께 민간 전문 상담관 제도의 정착을 지원 육성하고, 상호 존중하고 배려하는 병영문화 개선을 위한 새로운 지휘통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Ⅰ. 서 론

Ⅱ. 군대 조직의 특성과 신세대 장병들의 적응실태

Ⅲ. 연구방법

Ⅳ. 설문 조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