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444.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쟁’ 속 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연계 방안

  • 87

본 연구는 ‘전쟁’과 관련된 여성들을 분류하여 그들의 인권 문제와 정체성 변화를 여성 주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사회복지실천 연계 방안을 고찰했다. 위안부 및 기지촌 여성, 전 쟁과 강간, 난민 여성은 전쟁 속 여성의 인권에 대해, 그리고 전쟁 미망인과 순직군인 배우 자, 여성 군인은 자아 정체성 변화와 유지에 대해 두 가지의 여성주의 관점에서 살펴보았 고 그들의 강점을 살리고 임파워먼트의 부여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논의했다. 그 들의 삶에는 ‘전쟁’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생존을 위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살 아온 세월에 한恨이 맺혀 있었다. 사회복지실천은 개인 간 지단 간 및 계층 간의 공존을 지향하는 등 공존의 논리를 공통된 이념적 토대로 삼고 있다. 전쟁에 관련된 부분들이 경 쟁, 효율 및 힘과 성장 등 남성적인 가치관에 초점을 두어왔다면 보존, 수용, 이해, 화합을 지향하는 여성적인 가치관 또한 함께 공유해야 하며, 이러한 가치관은 생태학에 근거한 인 간행동과 사회 환경에 관심을 두고 인간의 적응과 강점에 큰 가치를 두고 있는 사회복지실 천의 고유한 성격과 맞아 떨어진다. 전쟁 속 여성을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은 다양한 접근 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군인의 사회복지실천 교육과 유엔평화유지군의 역할에 사 회복지실천을 적절히 활용한다. 둘째, 레질리언스를 강화하는 임파워먼트 지지를 위한 통합적인 지지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에 충성한 여성의 공헌을 인정받아 가부장제를 벗 어나 국가의 남성 위주 조직에서 여성의 역할을 굳건히 하고, 점진적으로는 세계 평화와 공존을 위한 노력 합의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사례관리, 옹호자, 대변자 등의 사회복지사 의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Ⅰ. 여는 말

Ⅱ. ‘전쟁’과 관련된 사회복지실천

Ⅲ. 전쟁과 여성의 삶

Ⅳ. 맺음말

참고 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