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부부관계의 질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심리적 안녕감(우울,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공군 기혼 부․준사관(하사, 중사, 상사, 원사, 준위)이며, 총 359부의 설 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변인 간 상관관계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부 부관계의 질은 조직몰입과, 그리고 그 하위요인 중 정서적 몰입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 으나 지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부부관계의 질은 조직몰입과 정서적 몰입에 대해서만 설명력이 있었으며 지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대해서는 설명력을 갖지 못하였다. 둘째, 부 부관계의 질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생활만족도와는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부관계의 질은 심리적 안녕감(우울,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우울은 조직몰입, 정서 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속적 몰입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 계이었다. 생활만족도와 조직몰입 간 관계는 조직몰입,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는 정(+)적 상관관계 이었지만 지속적 몰입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우울은 조직몰입,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적 몰입에 대해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귀식 모델에 대한 설명력은 낮았다. 생활만족도는 조직몰입,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 으나 지속적 몰입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관계의 질과 조직몰입 간 관계 에서 심리적 안녕감(우울,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e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울은 부부관계의 질과 조직몰입, 그리고 부부관계의 질 과 정서적 몰입 간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생활만족도는 부부관계의 질과 조직몰입, 정서적 몰입 간 관계에서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매개경로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Aroian, Goodman test를 실시하였다. 부부관계의 질과 조직몰입, 그 하위요인 모두(정서적 몰입, 지속적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