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회복지정책은 가족, 군대, 그리고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인식할 필요가 있다. 군사회복지정책이 요 청되는 일차적 사회요인은‘사회적 이슈’로서의 군인과 그 가족의 문제이다. 군사회복지정책은 군대 혹은 군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 한 영역으로 군과 사회복지가 조합된 개념이다. 군사회복지정책은 군이라고 하는 특수한 조직에 환경과 인간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사회복지적 가치가 조밀하게 융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쟁점이 존재한다. 이 같은 쟁점은 정책의 형성과정 에서 군사회복지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군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 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정책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에 대한 고찰에서부터 정책의 형성과정 에 대한 선험적 논의를 통해 정교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는데 에서 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시기적으로 2005년부터 2008년까지이다. 2005년도는 군사회복지사제도화를 추진하고, 병영생 활전문상담관제도를 채택했으며, 군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적 열망에 의해 사회복지단체와 군사회복지전문 가의 활동이 체계화되었다. 2008년도는 군인복지기본법이 시행된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 입법부와 군사회 복지전문가, 군사회복지단체는 군사회복지사제도의 도입과 군사회복지정책 집행을 위한 노력을 해왔고 이 를 계기로 군사회복지정책이 군대 내의 문제를 자체 해결중심에서 국민이 함께하는 정책으로 변화하는 시 발점이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군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을 연구함으로서 군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변화의 과정과 특성을 규명하고, 향후 군사회복지정책이 추구해야 할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군사회복지의 제도화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역학관계를 탐색함으로써 군사회복지의 개념 이나 정의 그리고 지원대상이나 범위 등에 관한 체계적인 제도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분석 틀
III. 군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IV.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