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44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군의료사회복지의 발전전략

  • 40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군의료사회복지의 현황과 실태,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군의료사회복지의 활 성화와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 및 개선책을 제공하고, 한국군의료사회복지에 대한 발전방안의 모색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2년 4월 16일부터 5월 31일까지 국내 의료사회복지의 현황과 실태에 대해 의료사회복지사 1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을 시행하였다. 국내 군병원에는 2011년 5월부터 국군수도병원에 의료사회복지사가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활동하기 시 작하였다. 연구대상자인 민간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의 평균연령은 33.24세, 임상경력은 74.28개월로 나타 났고, 여자, 30대, 기독교가 각각 높은 분포를 보였다. 의료기관유형은 전문정신병원이 38%, 1개 의료기관 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 수는 3명이 19.0%, 취득자격증은 의료사회복지사와 1급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가 19.0%, 담당업무는 2개 이상 임상분야를 맡고 있는 경우가 48%로 각각 가장 높은 분포를 보 였다. 또한 대상자가 근무하는 기관에 군장병이 내원한 경우가 41%였고, 진료협약을 체결한 경우는 12%, 작년에 입원환자는 10%, 외래환자는 5%가 있었다고 응답했고, 직접 군장병 환자를 의뢰받은 경우는 11%로 나타났다. 의료사회복지사가 제공한 서비스는 심리사회적 상담이 9%, 경제적 상담이 6%의 순이었고, 내원환 자의 소속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였으며, 본인 및 가족 또는 본인 및 소속부대가 각각 3%로 나타났다. 최근 군병원과 민간병원을 이용하는 군인환자 수는 연간 200만 명이상이고, 2011년에 군병원 내 의료사 회복지사가 배치되었으나, 국내 의료사회복지사들의 군인환자들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부족하고, 이들에 대한 직접서비스를 담당하는 경우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군병원과 민간병원, 그리고 보훈병원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을 활성화하고, PTSD, 자살, 화 상, 재활, 폭력, 가족문제 등에 대한 임상전문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학계와 전문단체간의 긴밀하고 유기적 인 협조 하에 군의료사회복지에 대한 효율적인 발전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VI.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