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현재 군 복무중인 병사 417명을 대상으로 가족기능, 회복탄력성, 군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 았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가족기능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기능은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가족기능과 군 생활 적응도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군 생활 적응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기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기능이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도 군 생활 적응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직접효과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가족기능수준이 낮은 병사들을 위하 여 회복탄력성수준 향상을 통한 군 생활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가설 및 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