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 307
131455.jpg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Bronfenbrenner의 생태 체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기혼 직업군인 262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2015년 5월 29 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PASW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생태학적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유기체 변인은 직업군인의 군복무기간이 짧을수록,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맞벌이를 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미시체계변인은 결혼생 활과 직무에 만족할수록 기능적이었고, 중간체계변인은 이웃과의 유대가 강하고, 동네조직에 덜 참여할수 록 기능적이었다. 외체계변인은 사회로부터 평가적 지지가 많을수록 기능적이었고, 지역의 공식적인 모임 에서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수록 기능적이었다. 거시체계변인은 직업군인에 대한 공직성과 군직 성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둘째, 직업군인의 전체적인 가족기능과 3개의 하위 영역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생태체계 변인군은 미시체계 변인군이었다. 이는 미시체계가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가장 중 요한 생태학적 체계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생태학적 모든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생태체계는 미시체계 변인군이 다.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였다는 점과, 상 대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보다 내실 있고 명실상부한 군인가족복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