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책임감 모형(TPSR)과 스포츠교육 모형의 통합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98
131533.jpg

6교시 4반과의 발야구… 2:1로 패하고 나서 체육실에 가서 평가지랑 그런 거 다 하고 나서 거두고, 반성시간을 하기 위해 조회대로 갔다(어느 여학생의 일기). 그림 1. 경기 기록하는 모습과 경기 후 악수하는 모습 위의 인용문과 <그림 1>의 모습은 전통적인 일반 체육수업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장면들이다. 인용문의 내용은 Hellison(2003)이 개발한 책임감 모형(TPSR; Teaching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model)을 활용한 체육수업에 대한 내용으로, 체육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감정 통제가 불가능한 학생들이 자기통제를 통하여 타인을 존중(Ⅰ단계)하고 학습과제에 열심히 참여․노력하는 단계(Ⅱ단계)를 지나, 학생 스스로가 학습 내용을 선택하고 계획하는 자기 책임감 단계(Ⅲ단계)를 거쳐 타인을 배려하는 단계(Ⅳ단계) 및 학급, 학교, 가정으로의 전이 단계(Ⅴ단계)에 이르는 수업모형이다. 또한 각 단계를 지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인식, 직접 교수, 개인적 의사결정, 그룹 의사결정,), 주제(통합, 전이, 권한부여, 교사와 학생 관계), 수업 포맷(상담시간, 인식 대화, 수업, 그룹 모임, 반성 시간) 등이 있으며, ‘모든 학생이 다 함께 참여’하고 학생들 스스로 게임을 조직․운영하는 방식으로 규칙 준수, 예절, 협동, 경쟁, 스포츠맨십 등의 기본 원리를 학습 및 내면화하는 수업모형(김동철, 2006; 최의창, 2003; Graham, 2001; Hellison, 2003; Hellison & Templin, 1991; Wright, 1998)이다. 문제점으로는 그룹미팅(group meeting)과 반성시간(reflection time) 등의 글쓰기 및 회의로 인한 시간 지연과 단위 수업시간 부족 등이 있었다(이은자, 2007; 정진홍, 1999; 최흥섭, 이안수, 2007).

Ⅰ. 이야기의 시작

Ⅱ. 내러티브 스케치

Ⅲ. 수업모형간 통합 시도 이야기

Ⅳ. 수업모형간 통합 시도의 의미

Ⅴ. 이야기의 마무리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