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국민의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노인 인구수와 노인단독세대의 증가, 노인의 사회적 욕구가 상승되면서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발맞춰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하여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을 서울 및 경기도에서 개발, 분양, 운영중인 업체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한편,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유효 수요자인 입소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수요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사례연구는 경기도 분당에서 추진한 유료노인복지주택사업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S시니어스타워가 유료 노인주거복지시설 사업에 어떻게 접근하여 성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의료서비스의 안정적 지원, 입주비용 및 월 생활비의 부담해소, 실버타운의 접근성, 지명도 있는 건설업체 선정, 직원을 활용한 마케팅으로 신뢰도 구축, 시설규모의 적정성, 설계사무소의 노인을 위한 공간 설계 등이 성공요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수요자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고소득층 노인들로 경제력 보유, 의사결정에 주체의식 강하고 상품 소비에 있어서 혁신자(innovators), 조기채택자(early adopters), 건강과 여가생활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관심, 자식, 친구나 친척 교류 중요시, 일반적인 주거유형(평면 및 내부구조)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적 대안으로는, 노인복지법과 관련하여 정부 부처간 법적 상충 문제와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입소대상자에 관한 규정의 제시, 노인주거복지시설 건설에 따른 융자지원, 노인주거복지시설 건설 택지 확보에 관한 사항, 노인주거복지시설에 대한 세금 혜택부여(취득세, 등록세, 양도소득세, 부가가치세)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으로 정부의 노인주거복지시설에 대한 지원과 국민들의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이 전환된다면 우리나라도 머지 않아 선진국과 같이 노인복지국가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Ⅰ. 개발 사례 분석
Ⅱ.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 성공 사례
Ⅲ. 수요자 특성 분석
Ⅳ. 개발사례 및 수요자 특성 분석을 통한 정책적 대안 모색
참고문헌
Abstract
(0)
(0)